본문 바로가기
프로툴스(Protools) 독학하자!

06_Track Format과 Track Type 세부내용

by ji-music 2025. 2. 2.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Track Format과 Track Type 세부내용' 등 각 Track의 특징에 관해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1. Track Format

New Tracks Track Format 항목들

트랙 포맷은 사용하는 프로툴스 등급에 따라 다른데요.

스튜디오 버전 이상으로 LCR, Quad, 5.0 이상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Track Type

New Tracks Track Type 항목들

1. Routing Folder : 트랙을 모음과 동시에 폴더 안에 있는 트랙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습니다.

2. Basic Folder : 트랙을 모아주는 역할만 합니다.

3. Audio Track : Audio Track은 오디오 신호를 기록(Recording), 수정(Editing), 프로세싱할 수 있으며 별도로 Input, Output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Aux Track : Aux Track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없는 트랙이고 주로 프로세싱과 라우팅(Input, Output 설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합니다.

5. Master Fader : Master Fader 트랙은 최종 출력되는 전체 볼륨을 컨트롤할 때 사용합니다.

6. VCA Master : VCA Master 트랙은 그룹화 시켜놓은 트랙들을 동시에 컨트롤할 때 사용합니다.

7. Midi Track : Midi Track은 미디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단일 트랙으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으므로 별도로 Audio track이나 Aux Track 혹은 Instrument Track을 생성해서 함께 사용합니다.

사용방법 : 미디 신호를 보내줄 트랙을 생성 > 가상악기 플러그인을 Insert에 활성화 > Midi Track Output을 가상악기 트랙으로 설정

8. Instrument Track : Instrument Track은 쉽게 Midi Track과 Aux Track의 기능을 합쳐놓은 트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Track View에서 Instrument를 활성화하면 Midi Track과 같은 설정 창이 나오며 별도의 Input/Output 설정 없이 가상악기 사용이 가능합니다.

 

[Midi Track과 Instrument Track의 차이와 효율적인 사용방법]

공통점 : 미디 신호를 기록(Recording), Input/Output 설정이 가능합니다.

차이점 : Midi Track은 Insert, Send 기능이 없고, Instrument Track은 있습니다. 또한 Instrument Track은 오디오 신호의Input/Output 설정이 가능합니다.

효율적인 사용방법 : 결론적으로 1가지 트랙만 생성해서 단일 악기를 사용한다면 Instrument Track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멀티채널을 지원하는 가상악기를 사용한다면 Aux Track 혹은 Audio Track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트랙마다 Plugin을 활성화하게 되면 CPU점유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3. Tip

오늘의 'Tip'입니다.

오디오 트랙을 생성할 때 New Tracks 창을 열어서 추가할 수도 있지만 Edit Window의 빈 공간을 더블클릭해도 트랙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때 추가하고자 하는 트랙별로 사용하는 단축키가 있는데요.

# Audio Track을 생성하고자 한다면 Command + 빈 공간을 더블클릭합니다.

# Aux Track을 생성하고자 한다면 Control + 빈 공간을 더블클릭합니다.

# Instrument Track을 생성하고자 한다면 Option + 빈 공간을 더블클릭합니다.

# Master Fader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Shift + 빈 공간을 더블클릭합니다.

_동시에 트랙을 생성할 수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오디오 트랙과 억스 트랙을 동시에 생성하고자 한다면 Command + Control + 빈 공간을 더블클릭하면 됩니다.

_해당 방법으로 트랙을 생성하게 되면, 프로툴스를 처음 실행한 후에는 오디오 트랙이 생성되고 이후에는 가장 최근에 만든 트랙이 생성됩니다.

_

 


다음 포스팅에서는 'Track Shortcuts과 File Import'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과 댓글+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프로툴스(Protools) 독학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_Import Audio  (0) 2025.02.03
07_Track Shortcuts과 File Import  (0) 2025.02.03
05_Track View와 New Tracks  (0) 2025.02.02
04_Zoom Controls Box, Edit Tools  (0) 2025.02.01
03_Session Folder, Tool Bar  (0) 2024.12.28